네트워크

네트워크는 노드(node)와 링크(link)가 서로 연결되어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

스크린샷 2024-07-15 114831

노드: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
링크: 유선 또는 무선과 같은 연결매체 (와이파이나 LAN)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했을 때
응답으로 링크를 준다

트래픽

링크 내의 흐르는 데이터의 양.

서버에 저장된 파일(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 을 클라이언트가 다운로드시 발생되는 
데이터의 누적량이다.

트래픽이 많아졌다 = 흐르는 데이터가 많아졌다
처리량이 많아졌다 = 처리되는 트래픽이 많아졌다

100KB 이미지를 1000명이 다운로드 시 누적 트래픽

100KB X 1,000 = 100,000KB(100MB)

10MB 동영상을 10명이 다운로드 시 누적 트래픽

10MB X 10 = 100MB

처리량

처리량은 링크 내에서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을 말하며
보통 얼만큼의 트래픽을 처리했는지를 나타냅니다.

많은 트래픽을 처리한다 = 많은 처리량을 가진다
처리량은 사용자가 많이 접속할 때 마다 커지는 트래픽, 네트워크 장치 간의 대역폭
네트워크 중간에 발생하는 에러, 장치의 하드웨어 스펙에 영향을 받습니다.

대역폭

대역폭은 주어진 시간 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흐를 수 있는 최대 비트 수

대역폭이 높을수록 사용자에게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대략적인 최대동시접속자수 척도가 됨.

RTT

스크린샷 2024-07-15 115046
스크린샷 2024-07-15 115105

RTT(Round Trip Time : 왕복 지연시간)은 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수신확인에 걸린 시간을 더한 값이자

어떤 메시지가 두 장치 사이를 왕복하는데 걸린 시간

네트워크 토폴로지

네트워크 토폴로지란 노드와 링크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를 말한다

버스 토폴로지

스크린샷 2024-07-15 115134

특징

1. 하나의 회선에 여러개의 노드
2. 노드 추가, 삭제 쉬움
3. 설치비용 적음

장점

1. 소규모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매우 쉬움
2. 한 노드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노드에 영항 X

단점

1. 메인 링크에 많은 트래픽이 생기면 정체현상 발생 가능성 높음 (패킷 손실율 높음)
2. 메인 링크 망가지면 큰 문제 발생

스타 토폴로지

스크린샷 2024-07-15 115234

특징

1. 중앙에 있는 노드를 기반으로 연결된 형태
2. 노드 추가, 삭제 쉬움

장점

1. 중앙노드가 아닌 한 노드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노드에 영향 X
2. 안정성이 높다. 중앙노드가 아닌 한 노드에 침해가 발생했을 때 
  다른 노드로 확장하기가 어렵다.
  다른 노드로 가려면 중앙노드를 무조건 거쳐야 하고, 
  보통의 스타 토폴로지는 중앙노드의 방화벽을 높게 설정한다.
3. 한 링크에 문제가 생겨도 해당 부분만 영향을 받고 나머지 부분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단점

중앙노드 에러시 문제 발생

트리 토폴로지

스크린샷 2024-07-15 115911

특징

1. 트리형태 (계층적 토폴로지 라고도 함)
2. 노드 추가, 삭제 보통 (리프노드를 기반으로 확장은 용이하지만 다른 노드는 어려움
3. 버스 토폴로지와 스타토폴로지의 하이브리드 형태

장점

1. 노드 확장이 용이 (주로 리프노드로 확장)
2. 리프노드의 에러는 나머지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단점

1. 특정 노드 트래픽 집중시 하위노드에 영향
2. 루트노드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네트워크에 큰 문제 발생

백본케이블

여러 소형 네트워크를 묶어 대규모 파이프라인을 통해
극도로 높은 대역폭으로 다른 네트워크들의 집합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대규모 패킷 통신망)

링형 토폴로지

스크린샷 2024-07-15 115935

특징

1. 고리형태
2. 노드 추가, 삭제가 쉬움

장점

1. 노드 수가 많아져도 데이터 손실이 없음.
2. 토큰을 기반으로 연속적으로 노드를 거치며 통신권한 여부를 따지고
해당 권한이 없는 노드는 데이터를 전달받지 않음

단점

1. 링크 또는 노드가 하나만 에러 발생해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
2. 토큰이 없는 노드는 통신에 참여를 못하며 데이터 공유가 안됨

메시 토폴로지

스크린샷 2024-07-15 120222

특징

1. 그물망 형태
2. 노드 추가, 삭제 어려움
3. 풀 (full) 메시 토폴로지의 경우 n * (n - 1 ) /2 의 회선이 필요함
    풀 메시 토폴로지: 모든 라인이 연결되어 있음 / 노드가 5일 경우 4! 개의 회선을 가진다.

장점

1. 안정성이 높음. 한 노드에 장애가 나도 다른 노드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2. 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음

단점

회선이 비효율적으로 많아 구축비용이 고가다.

'C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어별 네트워크 장치  (0) 2024.08.13
HTTPS 보안 프로토콜  (0) 2024.08.13
IP 주소와 MAC 주소  (0) 2024.07.17
TCP/IP  (0) 2024.07.17
HTTP 통신  (0) 2024.06.26

HTTP 통신

WWW (월드 와이드 웹) 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규약)이다.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을 담당하며 주로 HTML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의 리소스를 요청하고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1.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HTTP는 클라이언트 (보통 웹 브라우저)와 서버간의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에 기반한 프로토콜이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반환한다.

 

2. 무상태

HTTP는 기본적으로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프로토콜이다. 각각의 요청은 독립적으로 처리되며

이전 요청과의 상태 정보를 기억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태를 관리해야 하는 경우 추가적인 쿠키나 세션같은 기술이 필요하다.

  쿠키 세션
저장 위치 웹 브라우저에 저장됨. 
클라이언트의 로컬 파일 시스템에 저장되며
웹 서버로 함께 전송
서버 측에 저장된다. 서버 메모리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클라이언트는 세션 ID를 쿠키로 받아서 저장한다.
유효 기간 설정된 만료 날짜(유효 기간)까지 지속됨.
만료 날짜가 지나면 해당 쿠키 삭제
세션은 클라이언트가 브라우저를 닫거나 로그아웃 할 때까지 유지된다. 일정 시간 동안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호작용이 없으면 세션이 종료된다.
보안 클라이언트에 저장되기 때문에 중요한 데이터(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저장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데이터를 암호화할 순 있찜나 낮은 보안성. 세션은 서버에 저장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다. 쿠키보다 보안성이 높다.
사용 예시 사용자 로그인 정보, 쇼핑 카트 항목 저장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 유지, 각 사용자에 대한 개별적인 상태 관리 (아이디, 비밀번호, 닉네임 등)
요약 클라이언트에 저장되며, 유효 기간이 있고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임시 데이터 유지에 적합하다.
서버에 저장되며 클라이언트는 세션 ID만을 가진다.
데이터는 비교적 안전하기 때문에 사용자 정보 데이터 유지에 적합하다.

3. 메소드

HTTP 요청은 다양한 메소드를 사용하여 처리된다.

가장 일반적인 메소드는 GET (데이터 조회), POST(데이터 제출)이 있다.

GET 요청 웹 브라우저에서 주소 표시줄에 URL을 입력하거나 링크를 클릭하여 해당 리소스 요청
POST 요청 웹 폼에서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제출할 때 POST 메소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

 

4. URL과 리소스

HTTP 요청은 URL을 통해 리소스를 식별하고 요청한다.

예를 들어 http://example.com/index.html 은 example.com 서버의 index.html 리소스를 요청하는

URL이다.

 

5. 상태코드

HTTP 응답은 상태 코드를 포함하여 요청의 결과를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200은 성공, 300은 리다이렉션, 400은 클라이언트 오류, 500은 서버 오류이다.

리다이렉션: 웹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요청한 리소스의 위치를 알려줌.

따라서 이 오류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가(URL 등) 다른 위치에 있거나 추가적인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 발생한다.

 

 

'C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어별 네트워크 장치  (0) 2024.08.13
HTTPS 보안 프로토콜  (0) 2024.08.13
IP 주소와 MAC 주소  (0) 2024.07.17
TCP/IP  (0) 2024.07.17
네트워크  (0) 2024.07.17

+ Recent posts